728x90
글로벌 증시가 급등했고 나스닥100은 52주 신고가를 달성하며 전고점을 뚫고 상승했다. 소매판매, 산업생산등 경제지표들이 호조를 보이고 부채한도 협상 진전, 은행 위기가 안정화되는 모습 등 호재가 많았다. 기업실적은 나빠지고 증시는 큰 폭으로 상승하여 하락을 예상했으나, 증시의 상승추세가 예상보다 길게 이어지고 있다. 6월은 선물옵션 만기와, FOMC, 부채한도 데드라인이 있는 달이다. 변동성이 더 커지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.
글로벌 증시와 국내 증시의 방향은?
- 경제지표 호조와 부채한도 협상 기대감으로 인한 글로벌 증시 급등
- IT 업종 1분기를 바닥으로 실적 개선 기대감
1. 증권사 주간 증시 시황 리포트 요약
(출처 : 삼성증권 - Week Ahead: 위험선호 재개의 배경 및 전망; Fed 동결 전망 유지)
글로벌 금융시장 위험선호 재개
- 이번 주 발표된 미국 경제지표는 경기 연착륙을 향하는 흐름
- 애틀랜타 연준의 2Q GDP 추정치 2.9% 까지 추가 상승
- 부채한도 협상 다음 주 표결 가능성 언급되며 진전
경제지표 호조
- 소매판매 시장 예상 상회, 민간소비 견고한 증가세
- 세계 제조업 경기가 지난해 말에 저점을 통과했을 가능성 높음
- 매사추세츠주의 대규모 부정수급 단속 및 정정
- 매사추세츠주 제외 실업수당 청구 건수 22만명 내외로 안정세 유지
- 주택시장지수 5개월 연속 상승세, 10개월만에 기준선 50에 도달
- 부동산 시장의 약 70%를 차지하는 주거용 부동산 추세적인 둔화에서 벗어나기 시작
글로벌 금융시장 위험선호 재개
- 주요국 증시 2~3% 상승, 미 장단기 금리 20~25bp 상승
- 6월 FOMC 금리인상 확률 12%에서 40%로 상승
- 6월 FOMC는 금리동결과 함께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 두는 "Hawkish hold" 전망
(출처 : 한국투자증권 - 계량 주보:1Q23 어닝 시즌 리뷰: 실적 바닥 통과 기대감 증가)
1분기 어닝시즌
예상보다 긍정적인 실적
- 영업이익이 예상치를 하회한 기업이 많았음에도, 합산 영업이익이 예상치를 상회
- 계절적으로 긍정적인 1분기 실적의 특성
IT업종의 바닥 통과 기대감
- 한국 실적 연초 대비 19.5% 하향, 이중 16.9%를 IT섹터가 설명
-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순이익이 예상치를 상회
- 반도체 업종 올해 1분기를 바닥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추정
이익률 악화
- 미국 약 70%의 기업이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 발표
- 미국 순이익률이 예상치를 상회한 기업의 비중은 60%
- 한국 역시 영업이익은 예상치를 상회했으나 영업이익률은 예상을 하회함
- 산업재, 금융, 소재 등 가치주 성격의 업종 예상치 상회 기업 비중 높음
2. 나스닥 주봉 차트 분석
주관적 전망
- 나스닥 주봉차트 10캔들 상승세, 고저대비 -15.92% 상승
- 한 주간3.04% 상승, 거래량 감소, 장대양봉
- Sto 과매수 구간, MACD 상승세
- 지지 12000, 저항 13000
- 부채한도 협상 진전, 물가지표 호조 등으로 인해 증시 급등
- 나스닥 100은 전고점 상향돌파하며 52주 신고가
3. 코스피 주봉 차트 분석
주관적 전망
- 코스피 주봉 5캔들 하락추세 마감
- 한 주간 2.52% 상승, 거래량 감소, 장대양봉
- Sto 매수신호 발생
- 5주선을 상향돌파하며 크게 상승
- 지지 2500, 저항 2600
- 국내 증시 하락 후 반등이나 글로벌 증시는 별다른 조정 없이 추가 상승
- 상승을 해도 2600을 돌파하긴 힘들 것으로 보이며, 하락도 제한적으로 보임
4. 향후 주요 일정
- 5/24 미국 FOMC 의사록 공개
- 5/26 미국 4월 개인소득, 개인소비지출 발표
- 5/29 한국, 미국, 영국 증시 휴장
- 5/31 MSCI 지수 재조정
- 5/31 미국 4월 구인 및 이기(JOLTs) 보고서 발표
- 6/1 5월 ISM제조업지수 발표
- 6/1 미국 채무불이행 데드라인
- 6/2 미국 5월 고용동향보고서 발표
참고자료
더보기
증권사 리포트
삼성증권 - Week Ahead: 위험선호 재개의 배경 및 전망; Fed 동결 전망 유지
한국투자증권 - 계량 주보:1Q23 어닝 시즌 리뷰: 실적 바닥 통과 기대감 증가
728x90
반응형
'경제와 시황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시황분석]부채한도 법안 통과, 코스피는 2600 도달 (0) | 2023.06.03 |
---|---|
[시황분석]엔비디아가 이끈 미국 증시 상승세 (0) | 2023.05.28 |
[시황분석]미국 4월 물가지표, Disinflation 확인 (0) | 2023.05.13 |
[시황분석]시장 예상에 부합한 5월 FOMC, 다음은 금리동결 (0) | 2023.05.06 |
[시황분석]4거래일 연속 하한가, 여파는 지속될 듯 (0) | 2023.04.30 |